평생 저축밖에 몰랐던 66세 임여사, 주식으로 돈 벌다 – 강환국

평생 저축밖에 몰랐던 66세 임여사, 주식으로 돈 벌다

강환국 지음, 페이지2북스 펴냄

 

재테크에 관심을 가지고 부동산에 대한 공부를 하면서 월급쟁이 부자들 카페를 알게 되고 강환국 저자의 퀀트 투자를 접하게 되었다.  시스템을 통한 규칙 기반 투자에 대해 알게 되면서 큰 관심을 가지고 된 것은 내가 프로그래머이기 때문일 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인간의 감정에 배제하고 규칙에 따른 분산 투자이면서 충분한 통계 자료를 가지고 백테스트를 통해 검증된 투자 방식을 알게 되면서 푹 빠져 들 수 밖에 없었다.

앞으로 알게 되는 퀀트 투자에 대해 공부한 내용들을 정리해 보려 한다.

오늘은 그 첫번째로 강환국 저자의 책 “평생 저축밖에 몰랐던 66세 임여사, 주식으로 돈벌다”

 

1교시 투자의 목표와 자산 배분의 기초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목표 설정

내 목표 수익률 = 연복리 15% (10% 수익 + 2% 비용 + 3% 물가 상승률)

내가 견딜 수 있는 최대 손실(MDD) = 글쎄 15% 정도 ?? = 손절 기준

주식, 부동산, 채권, 금, 원자재, 현금 등 여러 자산군에 배분하여 손실을 최소화

주식 : 호경기에는 주식의 수익률이 좋고, 불경기에는 주식의 수익률이 좋지 않다

채권 : 금리가 떨어지면 채권 가격이 오르고, 금리가 오르면 채권 가격이 떨어진다

물가 : 물가가 오르면 중앙은행이 금리를 올린다 = 채권 가격은 내려간다, 물가가 내리면 중앙은행이 금리를 내린다 = 채권 가격은 올라간다

원자재(에너지, 농산물, 귀금속, 비금속) : 실물자산 가젹은 물가가 오르면 오른다, 물가가 내리면 떨어진다

달러 : 원/달러 환율은 한국 경제가 나쁘면 오른다, 한국 경제가 좋으면 내린다

자산 배분의 결론
1. 경제에는 4계절이 있다.
2. 우리는 미래에 어떤 계절이 어떤 순서로 올 지 예측할 수 없다.
3. 다행이도 어떤 경제 상황이 오든 그 상황에서 수익을 낼 수 있는 자산군이 있다.
4. 따라서 주식, 채권, 실물자산, 달러화를 모두 매수하면 4계절 중 어떤 계절이 오든 상관없이 우리의 전체 포트폴리오가 크게 무너지지 않는다.





 

 

2교시 손실을 줄이는 자산 배분 전략

 

코스톨라니의 달걀 이론
금리가 정점을 찍는 시기는 대부분의 자본이 은행 예금으로 향해 시장에는 돈이 부족한 상태
금리가 하락하는 단계는 예금 이자가 점점 줄어들고, 비교적 안전한 채권 투자가 늘어나고, 이에 따라 채권 가격이 상승하기 시작한다
금리 하락이 가속화되고 바닥에 가까워지는 때는 낮은 금리와 높은 채권 가격 때문에, 경기 침체로 인해 가격이 떨어져 있으면서 임대 수익률을 올릴 수 있는 부동산으로 돈이 흘러간다. 따라서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기 시작한다.
금리가 바닥인 시점에는 낮아진 대출 금리로 인해 대출이 증가하고, 시중에는 막대한 돈이 풀린다. 많은 돈이 자산 시장으로 흘러 들어가 전반적인 가격 상승을 일으킨다.
금리가 상승 시작하는 시기는 이미 부동산 가격이 많이 상승한 상황으로, 사람들은 부동산을 매도하고 시세차익을 거두기 시작한다. 부동산에서 빠져 나온 자본은 주식 시장으로 간다.
금리 상승이 가속화되는 시기는 경기 과열 상황이다. 인플레이션이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정부는 인플레이션 해결을 위해 금리 인상을 실시한다. 주식 시장은 가파르게 상승하고 거품도 생겨난다. 자본가들은 상승한 주식을 팔고 안전한 예금으로 갈아타기 시작한다.

 

리밸런싱 : 비율이 높아진 자산을 일부 팔고 비율이 낮아진 자산을 사서 포트폴리오의 비중을 맞추는 것

 

정적 자산 배분 1
가장 심플한 자산 배분 전략 = 60/40 포트폴리오
미국 주식(SPY)에 60%, 미국 중기국채(IEF)에 40%를 투자, 연 1회 리밸런싱 = 연 복리 수익률 9.2%, MDD -29.5%, 월 승률 64.2%

 

정적 자산 배분 2
단순하면서 효과적인 영구 포트폴리오
미국 주식(SPY), 미국 장기국채(TLT), 금(GLD), 현금에 각각 25%를 투자, 연 1회 리밸런싱 = 연 복리 수익률 8.3%, MDD -15.6%, 월 승률 64.5%

 

추가 자금을 투입할 경우의 리밸런싱은 기존 투자금을 그대로 두고 해당 시점의 비중을 고려하여 낮은 비중의 자산에 추가 자금을 투입하여 비중을 맞추는 방식

 

정적 자산 배분 3
올웨더 포트폴리오
미국 주식(SPY) 30%, 미국 장기 채권(TLT) 40%, 미국 중기 채권(IEF) 15%, 금(GLD) 7.5%, 원자재(PDBC) 7.5%, 연 1회 리밸런싱  = 연 복리 수익률 9.0%, MDD -21.1%, 월 승률 66.1%
한국형 올웨더 포트폴리오 = 연 복리 수익률 7.8%, MDD -9.9%, 월 승률 66.3%
위험 자산 미국 주식 TIGER 미국S&P500(360750) 17.5%
위험 자산 한국 주식 TIGER 200(102110) 17.5%
안전 자산 한국 중기 채권 KOSEF 국고채 10년 25%
안전 자산 미국 중기 채권 TIGER 미국채 10년 선물(305080) 25%





 

3교시 흐름에 올라 타는 추세 추종

 

추세 추종을 하는 목적은 1 연복리 수익률 상승 2 MDD 내리기 = 상승장에서는 위험한 자산에 투자해 돈을 벌고, 하락장에서는 안전 자산으로 대피한다.

상대 모멘텀은 연복리 수익률을 올리는 데 유효하며, “무엇을 살까?”에 대한 답을 준다. 최근에 상대적으로 가장 많이 오른 자산에 투자하는 전략

절대 모멘텀은 MDD를 줄일 때 유용한 방법으로 “언제 투자하고 언제 빠져 나와야 하는 지”에 대한 답을 준다. 상승장과 하락장을 구분

 

4교시 강환국이 사용하는 추세 추종 전략

 

오리지널 듀얼 모멘텀 전략
> 공격 자산 : 미국 주식(SPY), 선진국 주식(EFA)
> 안전 자산 : 미국 혼합 채권(AGG)
> 상승장/하락장 구분 : 최근 12개월 수익률
> 매수 전략
– 매월 말 SPY, EFA, 현금(BIL)의 최근 12개월 수익률 계산
– SPY의 12개월 수익률이 현금(BIL)보다 높으면 상승장으로 간주,  SPY와 EFA중 최근 12개월 수익률이 더 높은 ETF에 포트폴리오 전액을 투자(상대모멘텀)
– SPY의 12개월 수익률이 현금(BIL)보다 낮으면 하락장으로 간주, AGG에 포트폴리오 전액을 투자(절대모멘텀)
> 매도 전략 : 월 1회 리밸런싱

강환국의 기존 추세 추종 전략, VAA

강환국의 기존 추세 추종 전략, LAA

강환국의 새로운 추세 추종 전략 1. 채권 동적 자산 배분 = 연 복리 수익률 7.9%, MDD -8.9%, 월 승률 71.9%
> 공격 자산 8개 : 미국 단기 국채(SHY), 미국 중기 국채(IEF), 미국 장기 국채(TLT), 미국 물가 연동채(TIP), 미국 회사채(LQD), 미국 하이일드(HYG), 선진국 채권(BWX), 개도국 채권(EMB)
> 안전 자산 1개 : 현금
> 상승장/하락장 기준 : 최근 6개월 수익률
> 매수 전략
– 매월 말 8개 공격 자산의 최근 6개월 수익률을 계산
– 그 중 최근 6개월 수익률이 가장 높은 3개 ETF에 각각 1/3씩 투자 (상대모멘텀)
– 기 3개 ETF중 최근 6개월 수익률이 0보다 낮은 ETF가 있다면, 그 비중은 현금으로 보유 (절대모멘텀)
> 매도 전략 : 월 1회 리밸런싱

강환국의 새로운 추세 추종 전략 2. 변형 듀얼 모멘텀(느린 전략) = 연 복리 수익률 18.3%, MDD -15.3%, 월 승률 71.1%
> 공격 자산 2개 : 미국 주식(SPY), 선진국 주식(EFA)
> 안전 자산 : 채권 동적 자산 배분 전략 (= 위 추세 추종 전략 1번)
> 상승장/하락장 구분 : 최근 12개월 수익률
> 매수 전략
– 매월 말 SPY, EFA, 현금(BIL)의 최근 12개월 수익률 계산
– SPY의 최근 12개월 수익률이 현금(BIL)보다 높으면 SPY, EFA중 최근 12개월 수익률이 더 높은 ETF에 포트폴리오 전액을 투자(상대모멘텀)
– SPY의 최근 12개월 수익률이 현금(BIL)보다 낮으면 하락장으로 간주, 채권 동적 자산 배분 전략에 투자(절대모멘텀)
* 따라서 공격형 채권 미국 단기 국채(SHY), 미국 중기 국채(IEF), 미국 장기 국채(TLT), 미국 물가 연동채(TIP), 미국 회사채(LQD), 미국 하이일드(HYG), 선진국 채권(BWX), 개도국 채권(EMB) 8개의 최근 6개월 수익률을 계산
* 그 중 최근 6개월 수익률이 가장 높은 3개 ETF에 각각 1/3씩 투자(상대모멘텀)
* 그 3개 ETF중 최근 6개월 수익률이 0보다 낮은  ETF가 있다면 그 비중은 현금으로 보유(절대모멘텀)
> 매도 전략 : 월 1회 리밸런싱

강환국의 새로운 추세 추종 전략 3. BAA 전략(빠른 전략) = 연 복리 수익률 19.3%, MDD -14.5%, 월 승률 70.7%
> 공격 자산 4개 : 나스닥(QQQ), 선진국 주식(EFA), 개도국 주식(EEM), 미국 혼합 채권(AGG)
> 안전 자산 7개 : 미국 장기 채권(TLT), 미국 물가 연동채(TIP), 원자재(PDBC), 미국 혼합 채권(AGG), 미국 회사채(LQD), 미국 중기 국채(IEF), 현금
> 카나리아 자산 : 미국 주식(SPY), 선진국 주식(EFA), 개도국 주식(EEM), 미국 혼합 채권(AGG)
> 매수 전략
– 매월 말 4개 카나리아 자산군의 모멘텀 스코어 계산
* 모멘텀 스코어 계산범 : (12 x 1개월 수익률) + (4 x 3개월 수익률) + (2 x 6개월 수익률) + (1 x 12개월 수익률)
– 카나리아 자산 4개 모두의 모멘텀 스코어가 0 이상일 경우 포트폴리오 전체를 이격도가 제일 큰 공격형 자산에 투자
* 공격 자산의 이격도 계산법 : 최신가격/12개월 이동 평균
– 카나리아 자산 4개 중 한 개라도 모멘텀 스코어가 0 이하일 경우 포트폴리오 전체를 이격도가 가장 큰 안전 자산 3개에 투자
* 안전 자산의 이격도 계산법 : 최신가격/12개월 이동 평균
– 단, 안전자산의 가격이 12개월 이동평균보다 낮은 경우 그 비중을 현금으로 보유
> 매도 전략 : 월 1회 리밸런싱

강환국이 사용하는 신 3개 혼합 전략 = 연 복리 수익률 15.7%, MDD -9.3%, 월 승률 74.8%
위 3개 전략에 포트폴리오의 각각 1/3씩 투자





 

 

5교시 이길 확률을 높이는 계절성

 

마켓 타이밍과 계절성
> 오전보다는 오후(13시 이후) 수익이 더 높다
> 장중(9시 ~ 15시30분) 보다는 장외(15시30분 ~ 다음날 9시) 수익이 더 높다
> 월,화 수익보다는 목, 금 수익이 더 높다
> 월중보다는 월말, 월초(월말 4거래일, 월초 3거래일) 수익이 더 높다
> 11~4월 수익이 5~10월 수익보다 높다
> 미국 주식의 경우 중간 선거 다음 해의 수익이 높다

SEASONALITY

2나 3으로 끝나는 해에 저점이 온다
> 연도 끝자리 0~2 : 수익률 저조
> 연도 끝자리 3~6 : 수익률 높음
> 연도 끝자리 7~8 : 수익률 저조
> 연도 끝자리 9 : 수익률 높음

중간 선거가 있는 해에 저점이 온다

십일사 천국, 오십 지옥

세 가지 우주의 기운이 하나가 될 때 : 미국에서 중간 선거가 있고 2로 끝나는 해는 20년에 한 번 온다
> 1922년 10월에 투자를 시작한다면 1929년까지 약 3.5배의 수익 가능
> 1942년 10월에 투자를 시작한다면 1946년 중순까지 103% 수익 가능
> 1962년 10월에 투자를 시작한다면 1966년 초까지 66% 수익 가능
> 1982년 10월에 투자를 시작한다면 1987년까지 150% 수익 가능
> 2002년 10월에 투자를 시작한다면 2007년까지 90% 수익 가능
> 2022년 10월에 투자를 시작한다면 2023년 5월(책은 편집할 현재 시점) 기준 20% 정도 상승

 

6교시 개별주 투자는 소형주로

 

개별주 퀀트 투자의 핵심은 “성장하고 있는, 저평가된 소형주”를 사는 것이다.

개별주 투자 프로세스와 퀀트 프로그램
> 1단계 : 투자 아이디어 얻기
> 2단계 : 투자 아이디어의 계량화
> 3단계 : 계량화된 지표 검증
> 4단계 : 계량화된 전략의 백테스트
> 5단계 : 전략에 적합한 종목 찾기
> 6단계 : 주기적 리밸런싱

 

책에서 소개하는 퀀투스 사이트 : https://www.quantus.kr/backtest/universe

퀀투스사이트

 

 

7교시 성장하는 기업 찾기

 

무엇이 성장해야 성장주일까?
> 1. 매출액
> 2. 매출 총이익 = 매출 – 매출원가(비용)
> 3. 영업 이익 = 매출 총이익 – (판매비 + 관리비)
> 4. 순이익 = 영업 이익 ± (비영업이익/손실) – 법인세

YoY : 전년 동 분기 대비 성장률
QoQ : 전분기 대비 상장률
> 분기 단위로 기업 수익이 달라지기 때문에 분기 대비보다는 전년도와 비교하는 것이 적절하다

백테스트 설정
> 임의로 초기 투자금은 1000만원, 거래 수수료는 0.5%를 선택
> 리밸런싱 기간 : 월간, 분기, 반기, 연간 선택 가능 = 강환국은 보통 분기 선택
> 비중 조절 방법 : 현재는 동일 비중만 가능
> 종목 수 : 1개 전략에만 투자하면 20개 종목 정도, 2~3개 전략에 나눠서 투자한다면 각각 10개 종목 정도가 적당
** 테스트 결과 = 연복리수익률(CAGR)이 52.4% 엄청나다, 하지만 MDD가 52.65%로 불안하다

 

8교시 저평가주, 그리고 우량주

 

저평가 지표
> PSR = 시가총액/매출액
> PGPR = 시가총액/매출총이익
> POR = 시가총액/영업이익
> PER = 시가총액/순이익

> PBR = 시가총액/자본

퀀트 투자라는 것은 매우 간단하다. 어떤 형식으로 실전에서 잘 통하는 지표가 무엇인지 알아내고, 그 지표를 몇 개 결합해서 투자 전략을 만들면 된다.

소형 가치주 전략
> 소형주(시가총액 하위 20%) – 기본 필터 모두 적용
> PER, PGPR, POR, PSR, PBR 5개 지표의 각 순위 계산
> 5개 지표의 평균 순위 계산
> 평균 순위가 우수한 20개 종목에 투자
> 분기 1회 리밸런싱

백테스트의 생활화, 무엇이든 의심하고 검증하라 : 지표를 정하고 10분위 테스트 수행 – 의미가 있는 지 체크

 

9교시 실전 개별주 전략 완성

 

임희숙 전략
> 소형주(시가총액 하위 20%) – 기본 필터 모두 적용
> PER, PBR, 매출총이익 성장률(YoY), 영업이익 성장률(YoY) 4개 지표
> 평균 순위가 우수한 20개 종목에 투자
> 손절 0, 익절 0 (0 = 없음)
> 분기 1회 리밸런싱
> 백테스트 결과 : 연복리수익율 47.01%, MDD -53.5% 월승률 66.67%

퀀트 투자 고수와 하수의 차이
> 손신을 보더라도 통계를 믿고 꾸준히 리밸런싱 하면서 투자를 지속 하는 것
> 여기서 백테스트의 중요성이 등장하는데, 백테스트를 하면서 얼마나 크게, 자주 손신을 보는 지 인지한 후 투자

 

10교시 비퀀트 투자와 포트폴리오 구성

 

나는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 지 관심이 없고, 어떤 기업이 무엇을 하는 지에도 관심이 없으며 최신 트렌드에는 더 관심이 없다. 그래서 나는 수치만 보는 퀀트 투자로 돈을 버는 것이다.

투자 방식 – 퀀트 투자 무작정 따라 하기 참고
> 10월 말에 투자를 시작
> 시장 상황이 좋지 않으면 1/3 혹은 1/4 정도만 투자 시작
> 11월 말에 상황 판단 : 10월말에 산 주식이 수익을 냈으면 추가로 1/3 혹은 1/4를 추가 매수
* 시장 지수의 기준을 두고 기준 이하로 떨어지면 전체 포르폴리오를 손절한다. 이때 자산의 1~2% 정도를 잃을 것으로 추정
* 10월 말에 산 주식이 수익을 내지 못하고 시장 지수의 기준 이하로 떨어지지 않으면 추가 매수나 손절 없이 유지
> 12월 말에 상황 판단 : 10월말, 11월 말에 산 주식이 수익을 냈으면 1/3 혹은 1/4를 추가 매수
* 시장 지수의 기준을 두고 기준 이하로 떨어지면 전체 포르폴리오를 손절한다. 이때 자산의 5~6% 정도를 잃을 것으로 추정
* 수익을 내지 못하고 시장 지수의 기준 이하로 떨어지지 않으면 추가 매수나 손절 없이 유지
> 12월 말에 가진 포트폴리오는 2023년 4월 말에 전량 매도

전략을 실행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매수 전 언제 매도할 지, 주식이 오르면 혹은 내리면 혹은 횡보하면 어떤 행동을 취할 지 미리 정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투자 계획”이며, 계획을 정했으면 어떤 일이 발생하든 무조건 이 계획을 따라야 한다. 이것이 투자에서 가장 중요하다.

 

아들에게 배운 퀀트라는 새로운 세계

나에게 배움이란 언제나 새로운 세계를 경험하는 일이다.
질문하는 자만이 배운다
배움의 과정은 상대를 서로 알아가는 시간이기도 하다.

 

 

 

동적자산배분

https://www.youtube.com/post/UgkxZsRwDdk48G2VWND_9GllvIuLJtENpeSt

안녕하세요 할러님들,

17개 동적자산배분 전략 7월 종목 공유드립니다!

이번 좀 놀랐던 점: 미국 주식이 상반기에 계속 강해서 듀얼모멘텀 등 여러 전략의 SPY 비중이 높아지며, 각 전략의 집합인 메타전략도 SPY 비중이 높아지고 현금 비중 약화

계절성과 동적자산배분이 안 맞을 경우: 보통 7-10월에는 SPY가 약한 편인데 이럴 때는 어떻게 하는가: 그래도 동적자산배분에 배정한 비중은 기계적으로 전략대로 투자!

메타전략: SPY 41.6%, 현금 31.4%, LQD 20.3%, EFA 6.7%

BAA 공격형(내가 사용): 현금 66.7%, LQD 33.3%

BAA 중도형: 현금 66.7%, LQD 33.3%

변형 듀얼모멘텀(내가 사용): SPY 100%

VAA: LQD 100%

가속듀얼모멘텀: SPY 100%

HAA: 현금 100%

듀얼모멘텀: SPY 100%

DAA: LQD 50%, QQQ, SPY, IWM 각 16.7%

PAA: IEF 50%, EWJ, GLD, IWM, QQQ, SPY, VGK 각 8.3%

종합듀얼모멘텀: GLD, HYG, SPY, 현금 각 25%

RAA: IEF, TLT 각 50%

LAA: GLD, IEF, IWD, QQQ 각 25%

AAA: SPY 52.6%, GLD 47.4%

FAA: SPY, AGG, 현금 각 33.3%

GTAA: EFA, IEF, SPY, VNQ, 현금 각 20%

채권 동적자산배분(내가 사용): EMB, HYG, TLT 각 33.3%

이 17개 전략 12개월 상대모멘텀

1-5위: LAA, 가속듀얼모멘텀, RAA, 영구 포트폴리오, 금나비

 

 

 

 

위로 스크롤